[소셜타임스=김승희 기자]

이동영 교수.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이동영 교수.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묵인희 교수.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묵인희 교수.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혈액 한 방울로 치매 진행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학교 묵인희·이동영교수 연구진은 21일 알츠하이머병 유발 물질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타우(tau, τ) 단백질의 뇌 축적을 혈액검사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적 학술지인 브레인(Brain)의 표지논문으로 21일 게재됐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치매 질환이다. 타우 단백질의 뇌 축적 여부를 검사해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진은 혈중에 존재하는 타우 단백질이 뇌 안의 타우 단백질과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실험을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는 총 76명의 실험자가 참여했다. (인지기능 정상군 52명, 경도인지장애군 9명, 알츠하이머성 치매군 15명).

실험 결과 측정된 혈중 타우와 베타 아밀로이드의 농도 비율이 뇌 타우 단백질의 양 및 알츠하이머병의 진행과 정상의 해부학적 특징과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뇌 안의 타우 축적 유무에 따라 타우 양성 군과 음성 군으로 구분하였을 때 두군 사이에 혈중 타우와 아밀로이드 베타의 농도 비율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뇌 안의 타우 축적 유무를 구별하는 정확도 분석(ROC 커브 분석)을 진행하였을 때, 대상자 76명 중 혈중 타우와 아밀로이드 베타의 농도 비율이 민감도 80%, 특이도 91% 정도로 뇌 타우 축적을 예측 가능함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가 실용화되면 치매의 진행 정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치매의 예방 및 진행 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연구진이 선행 연구에서 발굴한 베타-아밀로이드 예측 기술을 함께 사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와 관련된 추가적인 지표를 발굴해 치매 예측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