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타임스=김기성 기자]

전기·수소차,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홈, 지능형 전력시스템, 차세대 반도체... 정부가 미래 산업 연구개발(R&D) 투자방향 설정을 위해 도시화·고령화·개인화 추세와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을 고려해 5대 전략투자 분야와 '100대 핵심기술'을 선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심의를 거쳐 '제7차 산업 기술혁신 계획'을 확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제7차 산업 기술혁신 계획'은 향후 5년간 산업 기술 R&D 중장기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투자계획 및 제도운영 방향을 포괄하는 법정 계획이다.

산업부는 “그동안 우리나라 산업 기술 연구개발(R&D)은 세계적 수준의 주력산업 육성과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신기술 개발에 일부 성과도 있었으나 단기 성과에 치우쳐 중장기적 투자 전략과 기술 개발 혁신 체계가 미흡했다”고 진단했다. 게다가 시장 진입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하는 등 4차 산업혁명 대응에 한계가 있어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투자 방향을 잡게 됐다는 설명이다.

우선 산업 기술 R&D의 집중투자가 필요한 5대 전략투자 분야로 ▲ 미래수송 ▲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 편리한 생활 ▲ 친환경 에너지 ▲ 맞춤형 스마트 제조를 선정했다.

이에 따른 분야 별 시장 변화에 대응한 투자전략을 수립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100대 핵심기술을 선정했다.

[ 전략투자 분야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미래수송의 경우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편리하고 안전한 미래수송을 위해 전기 수소 자동차와 자율주행차, 친환경 스마트 해양플랜트, 드론을 포함한 차세대 항공 분야에 집중투자한다.

건강관리의 경우 민간 투자가 활성화된 일반 생활용품, 의료용 범용소재 등의 지원보다는 디지털 헬스케어 등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분야에 집중투자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의 진단이나 치료 등 전통적 의료에 투자하던 것을 데이터 기반의 개인 맞춤 건강관리에 전략적으로 투자한다. 핵심기술 개발 과제로는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 건강관리 서비스, AI 기반의 혁신 의료시스템을 선정했다.

또한, 산업부는 데이터 기반 투자배분 모델을 활용해 향후 투자가 필요한 규모와 현재 투입되고 있는 예산 규모를 고려해 분야 별로 적정한 투자 증가율을 설정했다.

차세대 반도체 분야의 경우 향후 필요한 예산 규모는 크지만, 현재 예산 규모가 작아 투자 증가율 및 투자 금액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이에 비해 첨단소재 분야는 향후 필요한 예산 규모가 크지만, 현재 투입 예산 규모도 크므로 소폭의 증가율을 견지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러한 전략적 투자 배분을 통해, 산업부 연구 개발(R&D) 중 전략투자 분야에 대한 투자 비중을 현재 73% 수준에서 ‘22년에는 95%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계획 수립을 위해 작년 한 해 동안 8개 부문 총 113명의 산학연 전문가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정책 과제를 도출했다. 또한 기업 등 총 3,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약 670여 명의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분야별 차세대 100대 핵심기술]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