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타임스=김승희 기자]

저소득층·자영업자의 약 30%가 번 돈의 40% 이상을 빚을 갚는데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가능한 자산이나 소득은 자영업자가 직장인보다 적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통계 플러스(KOSTAT)'에서 '우리나라 가계부채 수준과 부채 가구 특성'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 가계부채는 1534조 6,000억원으로 2002년 4분기 464조7,000억원에 비해 3.3배 증가했다.

소득 하위 20% 가구 중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30.5%가 가처분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의 25.8%는 연간 가처분소득의 40% 넘는 금액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했다.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는 자영업자가 25.8%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1년간 4분의 1이 넘는 자영업자들이 번 돈의 40% 이상을 빚 갚는 데 썼다는 얘기다. 그다음으로 상용근로자(20.3%), 임시일용근로자(18.8%), 기타(16.9%) 순이었다.

지난해 1가구당 평균 총자산이 가장 많았던 부류는 자영업자(6억40만원)였고, 상용근로자는 5억310만원, 임시 일용근로자는 2억2,774만원이었다. 자영업자와 직장인인 상용근로자의 자산 수준이 비슷했다.

연간 가처분소득은 상용근로자가 6,038만원으로 자영업자(5,653만원)보다 많았다. 그러나 총 부채는 자영업자가 1억4,433만원으로 상용근로자(1억2,250만원)보다 2,183만원 많았다.

원리금 상환은 저소득층일수록 큰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소득 하위 20%의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34%는 원리금 상환이 생계에 매우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1년 뒤 금융부채는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소득수준이 낮으면 빚을 갚기 어렵다고 예상했다.

실제로 대출기한이 지나서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한 소득 1분위 금융부채 보유 가구 비중은 19.1%로 다른 소득분위 가구에 비해 높았다.

경제의 '뇌관'인 가계부채는 해외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었다.

가계부채 수준을 해외 주요국과 비교하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97.7%였으며 전년 보다 2.9%포인트 증가했다, 증가 속도도 빨았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비율(97.7%)은 스위스(128.7%), 호주(120.3%), 덴마크(115.4%), 네덜란드(102.0%), 캐나다(100.7%), 노르웨에(99.9%)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대부분 -0.7% 포인트~-3.4% 포인트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는 0%대를 보이기도 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7년 185.9%로 해외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이었다. 2008년 143.3%, 2017년은 185.9%로 42.6% 포인트 증가했다.

실제로 1인당 가계부채도 2008년 대비 2.36배 증가한 수치로 다른 국가보다 증가 폭이 큰 편이었다. 우리나라 1인당 가계부채는 2017년 2만9,871달러로 2008년 1만2,640달러에 비해 1만7,231달러 증가했다.

통계개발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 윤병우 주무관은 "저소득층 가구에서 원리금 상환으로 생계에 큰 부담을 느끼는 가구 비율이 높았다"고 분석했다.

윤 주무관에 따르면 가구주가 임시일용 근로자인 가구의 13.5%는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았다. 저소득층일수록 빚을 제 때 갚지 못해 빚의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오는 까닭이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