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타임스=정은영 기자]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이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대한 대응 준비가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에 대한 중소 수입업체 의견조사’ 결과 52.0%가 대응할 수 있는 별도의 대비가 전혀 돼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14일 밝혔다.

자료=중기중앙회
자료=중기중앙회

별도의 준비를 하고 있는 업체는 48.0%로 나타났으나 준비가 다소 부족한 업체가 38.4% (‘약간 준비되어 있다’ 20.7%+‘부분적으로 준비되어 있다’ 17.7%)로 나타났다. 반면에 충분하게 준비되어 있는 업체는 9.7%(‘대부분 준비되어 있다’ 8.7%+‘모두 준비되어 있다’ 1.0%)에 불과했다.

별도의 준비 방안은 다소 소극적 대응 방안인 ‘재고분 확보’가 4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 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시장 발굴’ 31.3%, ‘기술 개발 등 경쟁력 강화’ 15.3%의 순이었다.

중소기업이 준비 없이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발효되면 기업 경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근 일본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현재 부정적 영향을 느낀다는 응답은 25.7%,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은 39.0%, ‘부정적 영향 없다’는 35.3%로 조사됐다.

자료=중기중앙회
자료=중기중앙회

현재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 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은 67.3%로 나타났으며, 영향을 받는 시기에 있어서는 3개월 이내 36.3%, 4개월~1년이내 26.7%, 1년 이후 4.3%로 나타났다.

일본의 무역전쟁과 관련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분야로는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가 44.6%로 가장 높았다. ‘기업 피해 최소화 및 공정 환경 조성’(34.3%),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21.0%) 순이었다.

중기중앙회는 이번 조사의 후속 조치를 마련한다.

이달 안에 정부가 육성코자 하는 100대 품목을 포함해 전 소재·부품·장비 생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과의 공동 기술 개발 수요를 파악해 중소기업과 관련 대기업과의 매칭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구매 조건부 기술 개발 제도 활성화를 위해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과제 발굴 및 건의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 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를 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되어 왔다”면서 “앞으로 우수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를 대기업에 매칭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