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워크넷' 홈페이지.
구인 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워크넷' 홈페이지.

[소셜타임스=정은영 기자]

지난해 일할 능력이 있음에도 그냥 '쉬었음' 인구가 200만 명을 넘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증가율도 2011년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았다.

'쉬었음' 인구는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나 육아, 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쉬었음’ 인구는 실업자로도 분류되지 않는다. 실업 상태로 전락하거나 아예 구직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전년보다 23만8,000명 늘어난 209만2,000명이었다.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03년 이후 처음으로 ‘쉬었음’ 인구가 200만 명을 넘어섰고 12.8%의 증가율은 2011년 13.3%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해 ‘쉬었음’ 인구는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20대를 포함해 전 연령층에서 골고루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로 보면 15~19세 2만9,000명, 20대 33만2,000명, 30대 21만3,000명, 40대 22만3,000명, 50대 42만6,000명, 60세 이상 87만 명이었다

문제는 20대의 ‘쉬었음’ 비중이 처음으로 5%를 넘어선 것이다. 그동안 4%대 안팎에 머물렀던 20대의 '쉬었음' 비중은 처음으로 5%를 넘어섰다.

지난해 유일하게 고용률이 하락한 40대의 ‘쉬었음’ 비중은 2016~2018년에 2.2~2.3% 수준을 나타냈다.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분석한 결과, ‘쉬었음’ 인구가 해당 연령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대 5.2%, 30대 2.9%, 40대 2.7% 등이었다.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래 모두 역대 최대다.

생산 가능 인구(15~64세)로 따지면 ‘쉬었음’ 인구 비중이 처음으로 4%대(4.4%)로 올라섰다.

‘쉬었음’ 인구가 늘어난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추경호 의원은 “‘쉬었음’ 인구의 급증은 우리 경제의 활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추 의원은 “국가 주도의 관치경제에서 민간 중심의 시장경제로 정책 방향의 기조를 확실히 바꿔야 고용 상황을 포함한 민생경제가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리뷰' 최신호에 실린 ‘2019 노동시장 평가와 2020년 전망’에서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은 주로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증가해왔으나 지난해 들어서 60세 미만 연령층의 증가폭이 60세 이상 증가폭을 상회하는 모습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 둔화로 남성을 중심으로 주력 연령대의 고용이 좋지 않은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