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타임스=채동하 기자]

경제의 허리인 40·50대 일자리가 무너지고 있다.

지난해 정리해고 등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직장을 그만둔 40·50대 ‘비자발적 퇴직가’가 49만명에 육박하며 5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반면 세금으로 만든 일자리가 늘면서 60대 이상 취업자는 크게 증가했다.

16일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000명이었다. 이는 2014년 55만2,000명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전 연령층 가운데 10대와 40·50대에서만 늘었다. 추 의원실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도별 퇴직자(12월 조사 기준) 현황'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했다.

정부가 "고용의 양과 질이 개선됐다"고 자화자찬한 게 1개월 전이다.  

지난 1월 15일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작년 취업자 수, 고용률, 실업 등 지표가 모두 개선되며 양과 질 양측에서 큰 폭의 회복세를 보인 '일자리 반등의 해'였다고 밝힌 바 있다.

16일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000명이이었다고 밝혔다. 사진=추경호 블로그
16일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000명이이었다고 밝혔다. 사진=추경호 의원 블로그

▲40대 직장 휴·폐업 사업부진 등으로 8만4천명 실직

비자발적 퇴직자는 12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직장의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이나 정리해고 △임시·계절 업무 완료 △사업 부진의 4가지 사유를 퇴직 이유로 답한 경우다. 연도별 퇴직자는 직장을 그만둔 그해 12월 조사 시점까지 실직 상태인 사람이 해당된다.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직장의 휴업과 폐업,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직장 휴·폐업으로 실직한 40대는 전년(1만8,000명) 대비 7,000명 넘게 늘어난 2만6,000명이었다. 2014년 이후 5년 만에 최고치였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직장을 잃은 40대도 전년(4만9,000명)보다 8,000명 넘게 늘어난 5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50대 명퇴 임시직 완료 등 5만2천명 직장 잃어

50대에서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가 13만명으로 전년보다 1만3,000명 늘었고, 명퇴·조기퇴직·정리해고는 5만2,000명으로 전년 보다 6,000명 증가하는 등 비자발적 퇴직자가 급증했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일터를 떠난 경우도 전년보다 2,000명 가까이 늘어난 9만8,000명으로, 전체 50대 비자발적 퇴직자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증가폭으로는 직장 휴업이나 폐업으로 실직한 40대는 2만6,000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다.

50대는 명예퇴직, 조기퇴직, 정리해고로 실직한 사람이 5만2,000명으로 1년 만에 6,000명 늘어났다. 임시 일자리 종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는 2만8,000명 줄어들었지만 그 중 40대·50대는 3만2,000명이 늘어났다.

▲ 전제 비자발적 퇴직자 2만8천명 감소, 40대·50대 3만2천명 늘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8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명 넘게 늘었다. 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30만2,000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다.

이는 고용 부진이 경제의 허리인 40·50대 집중됐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40대 일자리가 많은 도소매업과 제조업의 고용 부진이 이어지면서 올해 들어서도 40대가 대거 직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특히 롯데가 지난 13일 점포 200개를 폐쇄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이어서 고용 한파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40대 도소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4만8,000명, 제조업은 4만4,000명 감소했다. 1월 전체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6만8,000명 증가했지만 40대는 8만4,000명 감소해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줄었다.

40대 고용 감소와 관련해 올해 1월 15일 홍남기 부총리는 “한국 경제의 허리 층인 40대, 특히 제조업 일자리를 위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오는 3월까지 ‘40대 일자리 맞춤 종합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세금 투입 일자리 60세 이상 취업자 큰 폭 증가

반면 세금이 투입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서 60세 이상 취업자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 1월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0만7,000명 늘어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중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12만7,000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에서는 6만5,000명 늘었다.

이들 업종은 재정 일자리 사업의 효과가 집중되는 분야다. 정부는 고용부진 타개를 위해 올해부터 사업 시작 시기를 1월로 앞당겼다.

추경호 의원은 "경제 허리층인 40대와 50대의 고용 상황이 최악인데도 정부는 어르신 단기 일자리와 같은 세금 일자리 늘리기에만 급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민간 활력을 높이고 경제 체질을 바꾸는 근본 처방 없이 현 정책 기조가 계속되면 고용 상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