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바이오메드 한세광 대표이사, 제넥신 성영철 대표이사, 포항공대 오승수 교수(왼쪽부터)가 경기도 성남시 제넥신 본사에서 협약식을 체결했다. 사진=제넥신
화이바이오메드 한세광 대표이사, 제넥신 성영철 대표이사, 포항공대 오승수 교수(왼쪽부터)가 경기도 성남시 제넥신 본사에서 협약식을 체결했다. 사진=제넥신

[소셜타임스=채동하 기자]

제넥신은 바이오 진단과 치료 시스템 개발 기업 화이바이오메드,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차세대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3개 기관은 기존 mRNA 백신의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안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mRNA 플랫폼 기반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을 목표로 한다. 공동 연구로 개발한 기술과 지적재산권 등 연구 결과물은 3개 기관이 공동으로 소유할 예정이다.

제넥신과 함께 공동연구를 주도하게 될 화이바이오메드의 한세광 대표는 나노의약 전문가로 모더나 창립자인 로버트 랭거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과 협력연구를 수행했다. 포항공대 신소재공학과 오승수 교수는 하버드의대 연구팀 출신으로 모더나의 과학 자문을 맡고 있다.

이번 공동연구로 개발할 차세대 mRNA 백신은 히알루론산 지질 전달체를 이용해 mRNA 자체를 효과적으로 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백신이다. mRNA 백신은 mRNA 자체를 지질나노입자(LNP) 등 전달체와 함께 주입해 체내 세포가 항원 단백질을 만들게 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이 과정에서 히알루론산 지질 전달체를 이용하게 된다.

히알루론산은 체내에 자연 존재해 생체 친화성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로 안전하면서도 LNP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기존 mRNA 백신들이 사용하는 PEG화된 LNP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아나팔락시스, 간독성 등 부작용 발생을 줄여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다양한 온도에서도 보관이 가능한 제형으로 개발이 가능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차세대 mRNA 백신은 주사제뿐만 아니라 비강 투여도 가능한 제형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비강투여시 제넥신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GX-I7(지속형 인터루킨-7)과 병용투여함으로써 백신이 투여된 점막 부위의 면역반응을 극대화해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연구 개발 과정에서 화이바이오메드는 기존 mRNA 백신 전달체로 활용됐던 LNP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기술 개발을 맡는다.

포항공대는 코로나19 예방 백신에 사용되는 mRNA의 디자인 및 세부 엔지니어링을 통해 백신의 예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를 하기로 했다.

제넥신은 기존 코로나19 DNA 예방 백신을 개발한 경험을 바탕으로 협력 주도한다.

성영철 제넥신 대표는 "DNA 백신과 mRNA 백신은 둘 다 핵산 기반의 백신으로 직접 감염원을 다루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넥신은 이미 DNA 유전자 백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한 가지 플랫폼만을 고수하기보다는 향후 다가올 미래 감염병을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백신 기술을 확보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넥신은 지난 7일 인도네시아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인 ‘GX-19N’의 임상 2·3상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