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소셜타임스=김승희 기자]

올 상반기 글로벌 유니콘에 신규로 편입한 전세계 기업은 291개사이며 우리나라는 단 1개사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미국 시장조사기관 CB Insights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국가별 유니콘 기업 배출과 투자 생태계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마켓컬리’가 유일하게 신규 글로벌 유니콘기업에 진입했다.

코로나19 타격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의 악재 상황에서도 올해 1~7월 291개 글로벌 기업이 새 유니콘으로 등극했다.

유니콘 기업을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는 미국이 58.1%(169개), 중국이 8.9%(26개)를 차지한 가운데 한국은 마켓컬리 단 1개사를 탄생시켰다.. 글로벌 유니콘 기업은 올해 신규진입한 기업 포함해 총 779개가 됐다.

보유순위는 미국이 388개로 가장 많고, 중국(157개), 인도(36개), 영국(31개), 이스라엘(18개) 순이었다. 미국·중국이 전체 유니콘의 70%를 보유한 가운데, 한국은 1.4%(11개)를 보유하여 세계 10위로 집계됐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미래를 지배할 유망산업을 짐작할 수 있는 유니콘 산업분야 TOP5는 핀테크,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 전자상거래, AI, 헬스 순이었다. 미국과 중국이 TOP5 산업분야 유니콘의 62.8%(332개)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AI와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 분야 진출이 전무하고 기타산업 등 상대적으로 비유망 분야에 편중되어 미래형 산업 진출에 제한적이었다.​

한국의 유니콘 기업은 △위메이크프라이스(전자상거래), △무신사(전자상거래), △쏘카(자동차/운송), △L&P코스메틱(리테일), △토스(핀테크), △아프로젠(헬스), △옐로모바일(모바일/텔레콤), △마켓컬리(배달), △야놀자(여행), △GP클럽(기타), △크래프톤(기타) 등 11개이다. 크래프톤은 지난 8월 3일 데이터 집계 이후인 8월 10일 상장했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최근 3년간 2018~2020년 스타트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현황을 살펴보면, 미·중이 전 세계 투자금액의 72.8% 이상을 유치한 가운데 한국은 단 1.5%에 불과했다.

한국과 투자유치 규모가 유사한 중견국인 이스라엘은 유니콘 배출 기업이 18개로 세계 5강에 속할뿐만 아니라 사이버안보, AI, 핀테크 등 첨단분야에 집중돼 있어 큰 대비를 보였다.

투자규모 및 투자단계별 분석은 1억 달러 이상 대형투자의 경우 미·중이 79.6%를 유치한 가운데 한국은 1.1%에 머물렀다. 지난 3년간의 글로벌 대형투자 유치(1억 달러 이상) 총금액은 중국(1,482억5,000만 달러)이 미국(1,481억7,000만 달러)을 앞질러 중국의 기업과 산업에 대한 미래 가능성을 짐작케 한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단계별 투자의 경우 한국은 세계 5강 대비 스타트업의 초기투자 비중이 큰 반면 성장기 스타트업의 레벨업에 필수적인 중후기투자 비중이 작아,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스타트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가 회수되는 엑시트의 경우, 세계 주요 유니콘 강국의 엑시트는 M&A를 중심으로(82.8%) 이루어지는 반면, 한국은 M&A(52.9%)를 통한 투자회수시장이 경직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유니콘 기업의 엑시트 사례를 보면, 현재까지 카카오, 우아한형제들, 쿠팡, 크래프톤이 엑시트에 성공했다. 그러나 우아한형제들의 경우 글로벌 M&A에 대한 국내의 부정적 인식으로 엑시트과정에서 진통을 겪은 바 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은 지난해 처음으로 서울이 글로벌 도시창업생태계 TOP 20위에 진입하는 등 생태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유니콘 세계5강국과 비교하여 여전히 개선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이 더 많은 유니콘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대형투자 및 중후기투자의 규모를 확대해 성장기 스타트업을 유니콘으로 도약시키는 모멘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고, M&A 엑시트가 활성화돼 투자금 회수와 재투자의 선순환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자본이 벤처투자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도시창업생태계 1~3위는 미국 실리콘벨리, 영국 런던, 중국 베이징이다. 이탈리아 텔아비브가 6위, 한국 서울은 20위, 인도 벵갈로르는 26위에 올랐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