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흥식
박흥식

5월 31일은 바다의 날이다. 우리의 해양 환경을 생각해본다.

우리나라 바다 환경이 위험하다는 적신호가 여기저기서 감지되고 있다.

우선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와 함께 지구 온난화와 수온 변화 등으로 인해 해마다 줄어드는 수산물 어획량에 비춰 바다 자원의 고갈 문제가 심각한 점이다.

게다가 이웃나라인 일본의 방사능 유출사고로 인한 해양오염과 프라스틱 등 환경오염물질을 먹은 어류 등 대양에서 수확하는 수산물 먹거리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성도 대두했다.

우리 식탁에 오르는 생선 중에서 특히 수입 어종에 대해서는 방사능 오염 등 환경오염의 각별한 감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다.

바다의 날에 우리는 지금 바다 자원의 고갈과 우리 식탁의 위험까지 상존하고 있어 우리나라 수산 환경에 대한 자각과 경각심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미루어 짐작건대 동해 .남해. 서해 바다 해안을 낀 전국 70여개 지자체의 사정과 해양 환경도 별반 다르지 않으리라는 예상이다.

우리나라 바다 환경에 대해서 몇 가지 더 짚어보자.

우리 서해 바다의 경우 관문인 인천 영종 용유 해안지역은 서울 김포 지역 내륙 도시에서 버려지는 배출물 등으로 떠내려오는 수많은 생활쓰레기와 주변 해역을 통과하는 화물선 무역선 고기잡이 어선들이 투척하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가 쓰레기 처리에 투입할 예산은 연간 배정액이 터무니없는 수준이다.

인천 중구 지자체의 년간 해양 쓰레기처리에 배당된 예산 규모는 년간 처리량 250톤 규모에 대해 예산은 총 4억( 국비 1억, 시비 3억) 배정이다. 해안, 바다 쓰레기 수거 처리에 국비가 년간 고작 1억 지원이라니 황당한 예산 수준이다. 해양 환경 관리를 위해서는 보더 더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수산물 어획 생산에 대한 투자와 환경오염 방지에 대한 여건 마련이다.

서해 바다의 주 수확 어종으로 인기 있는 꽃게나 밴댕이 등 어획량이 해마다 감소하고 특히 꽃게의 경우는 최근 몇 년 동안은 어획량이 전년 대비 4분의 1수준으로 급감해 어업인의 소득에도 비상이 걸려있고 어획량 확보를 위해 추가 설치되고 버려지는 어구 장비가 환경오염을 부채질하고 있어 예방 대책도 절실하다.

지역 채널들의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 동해 해역의 명태는 자취를 감췄고, 오징어 어획량도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남해 바다의 멸치, 고등어, 갈치 등도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고 우리 밥상에 오르는 고등어나 갈치가 노르웨이나 세네갈산 등 외국산이 더 많다고 한다.

제주 해역의 수산물 고등어, 갈치, 참조기 등의 어획량도 급감했다.

우리나라 수산 어류의 생산량 감소는 어업인의 소득증대와 나아가서 소비자의 물가에도 반영되니 더욱 수산자원의 증식 대책이 필요하다.

감소된 어업 자원의 증강을 위해서는 해조류의 종묘생산 기술이나 해양 성장에 대한 연구는 물론 인공 양식과 부가가치가 높은 건강한 수산 어류종묘를 근해에 방류함으로써 수산자원이 인위적 조성과 함께 어업인의 양식업에 대한 투자 또한 추가하거나 증대하는 대책도 필요하다.

또한 해양 오염된 어류의 국내 반입과 소비에 따른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위해서는 자국 생산 생선은 물론 수입산 어종에 대한 방역 검수도 더욱 철저히 하고 수입 어종에 대한 안전성에도 각별한 통제와 감독이 필요하다.

수산자원의 고갈을 해소하고 청정하고 깨끗한 ‘우리 바다를 살리자’는 국가적 캠페인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