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타임스=김승희 기자]

공공기관이 시설공사나 물품, 용역 등이 필요할 때는 조달청이 운영하는 나라장터를 이용해야 한다. 공공기관은 개인처럼 마트나 슈퍼에서 물건 사듯 구매할 수 없다. 나라장터를 통해 경쟁입찰 등 다양한 방식의 입찰을 통해 계약한 다음 납품을 받아야 한다.

나라장터는 공공기관의 조달업무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KONEPS)이다.

반면 지난 2월에 개통된 혁신장터는 혁신 제품의 초기 진입 시장을 제공하기 위해 신설한 플랫폼이다. 다시 말해 공공기관의 혁신수요와 기업의 혁신 제품을 연결해 주는 곳이다.

나라장터와 혁신장터는 운영방식도 다르다. 나라장터는 입찰공고→ 입찰→ 낙찰자 선정→ 계약 체결 과정을 거치는 방식이지만 혁신장터는 나라장터와 달리 원스톱 거래가 가능한 열린 장터(오픈마켓) 형태로 운영된다.

나라장터와 혁신장터가 어떻게 다른지 ‘장터’속으로 들어가 본다.

나라장터는 공공기관의 조달업무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KONEPS)이다.

▲ 입찰공고부터 대금지급까지 온라인 처리하는 국가종합전자조달 시스템

국가 공공조달시스템인 나라장터는 조달업무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선진 전자조달시스템이다. 모든 공공기관의 입찰정보가 공고되고, 1회 등록으로 어느 기관 입찰에나 참가할 수 있는 공공조달 단일 창구 역할을 수행한다.

입찰부터 계약, 대금 지급까지 조달 전 과정이 인터넷에서 편리하게 처리되고, 166종의 관련 서류를 전자화해 빠르게 처리함으로써 공공기관, 조달기업 모두 효율적인 조달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조달기업은 분야별 면허 등 자격요건을 미리 나라장터에 등록하면 1회 등록만으로 모든 공공기관의 입찰에 참가할 수 있다. 아울러 나라장터 한 곳에서 모든 공공기관의 입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156개 기관의 조달 관련 정보를 연계해 조달기업은 별도의 문서, 증빙서류 제출 없이 입찰, 계약, 대금 지급 등 조달 전 과정을 ‘ONE-Stop’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전 과정이 원스톱으로 진행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투명하고 깨끗한 운영이 가능하다.

입찰정보 파악, 입찰 계약 서류 제출 등 조달기업이 공공기관에 방문할 필요가 없어져 여비 등 약 8조원의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조달업무 절차도 간소화됐다. 조달청에 따르면 조달기업 절감액은 6조 6,000억원, 공공기관 절감액은 1조 4,000억원에 이른다.

나라장터 운영으로 투명한 조달행정도 가능해졌다. 조달 정보의 실시간 공개, 표준 절차에 따른 업무처리 때문이다.

나라장터 조달기관 등록업체는 2월 말 현재 87만 5,091개다. 이 중 중소기업이 38만7,331업체로 약 45%를 차지한다. 공공입찰 정보의 통합 공고를 통해 입찰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마케팅 비용도 절감하고 있다는 게 조달청의 설명이다. 반면 수요기관 등록업체는 4만2,257개로 집계됐다.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전자조달서비스인 나라장터 시스템을 해외 7개국에 수출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2008년 베트남에 이어 코스타리카(2009), 몽골(2010), 튀니지(2012), 카메룬(2013), 르완다(2015), 요르단(2015)에 수출했다. 미국, 캐나다 등과는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 혁신제품의 초기 진입 시장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나라장터는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공사 물품 용역 등을 구매하는 곳이지만 반대로 혁신장터는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의 혁신 제품을 공공기관이 구매해 줄 것을 요청하는 플랫폼이다.

조달청이 지난 2월 24일 선보인 혁신장터는 혁신 조달의 플랫폼으로 정부의 혁신 조달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원스톱) 서비스 포털이다. 혁신제품의 초기 진입 시장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됐다.

혁신장터는 정부의 혁신 조달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원스톱) 서비스 포털.

혁신장터는 지난해 7월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에 따라 구축됐다. 상용화된 제품 중심의 현행 공공조달시스템인 ‘나라장터’와 차별화해 운영한다.

‘혁신장터’주요 기능은 ▲혁신 제품 전용몰 ▲혁신 수요·공급 커뮤니티 ▲부처별 공공 R&D 수요조사 통합운영 ▲경쟁적 대화방식 등 혁신 조달제도의 정보화를 지원하는 4가지이다.

혁신장터는 나라장터와 달리 ‘혁신상품 수요 제시·제품 등록·원스톱 거래’가 가능한 열린 장터(오픈마켓) 형태로 운영된다.

특히 혁신 제품 전용몰은 우수 R&D 제품, 혁신 시제품 시범 구매 제품 등을 열린 장터 형태로 업체가 자유롭게 등록·거래할 수 있도록 하여 혁신 제품의 판로를 지원한다.

그동안 수요기관과 업체별로 오프라인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던 혁신 제품 탐색 절차를 온라인화하고, 인공지능(AI)을 도입해 비교 가능한 상품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구매 편의를 크게 높인 게 특징이다.

지난 2월 혁신장터 개통으로 지난해 혁신 시제품으로 지정된 드론 등 66개 제품이 한자리에 선보이고 있다.

올해는 300개 이상의 제품이 새롭게 등록될 예정이다. 나라장터와 연계하여 수요기관의 구매가 편리하도록 설계돼 있다.

특히 모든 국가기관, 지자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별 물품 구매액의 1%를 혁신 제품 구매에 활용하는 제도가 의무화돼 혁신 제품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예산 규모는 연간 약 4,000억 원이며 구매 실적은 기관 평가에 반영될 예정이다.

또한 혁신장터에는 혁신 수요‧공급 커뮤니티가 있어 소통이 가능하다. 수요기관의 혁신적 수요 제기와 혁신업체의 솔루션 제안이 가능한 창구로 전문가를 통해 수요와 공급 간 연계를 지원한다.

이 커뮤니티를 통해 수요 제기자의 편의를 제고하고 국민이 정부에 원하는 수요를 체계적으로 축적해 향후 정책 방향을 결정하거나 연구개발을 지원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계획이다.

이 기능은 국립공원 관리 맞춤형 드론 도입에 3년이나 소요되었던 사례 등을 개선하고자 미국 조달청이 운영하는 연방정부 구매담당자용 포털을 벤치마킹하여 구축했다.

부처별 공공 R&D 수요 조사 통합 운영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부처와 협의체를 구성해 부처별로 추진하던 공공 연구개발(R&D) 사업의 수요 조사 정보를 혁신장터에서 통합하여 제공하며, 올해 예산 규모는 약 2,200억 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