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사이 우리나라 남성의 평균 허리둘레가 1㎝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근 5년 사이 우리나라 남성의 평균 허리둘레가 1㎝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소셜타임스=정은영 기자]

최근 5년 사이 우리나라 남성의 평균 허리둘레가 1㎝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허리둘레는 소폭 줄었다. 복부비만율도 남성은 오르고 여성은 내렸다.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표한 자료를 보면 건강검진 기준 평균 허리둘레는 2021년 남성이 86.0㎝(33.9인치), 여성이 76.6㎝(30.1인치)였다.

2017년과 비교하면 남성은 0.9㎝ 늘고, 여성은 0.3㎝ 줄었다. 연령별로는 남성은 30대(86.8㎝)의 허리가 가장 두꺼웠으며, 여성은 80세 이상 고령층(82.5㎝)의 허리둘레 수치가 가장 컸다.

복부비만율에서도 남녀의 양상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허리둘레가 남자 90㎝(35.4인치) 이상, 여자 85㎝(33.5인치) 이상일 때 진단받는다.

2022년 복부비만 비율은 남성이 31.7%, 여성이 19.2%였다. 남성 10명 중 3명, 여성 10명 중 2명이 복부비만인 셈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지만 남성은 0.2%P 오르고, 여성은 0.4%P 내렸다.

그러나 이를 10년 전과 비교하면 변화 폭이 두드러진다. 2012년 복부비만 비율은 남성이 22.1%, 여성이 17.3%였다. 10년 사이 남자의 복부비만율은 9.6%P 올랐으며 여자 복부비만율은 1.9%P 상승했다.

복부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체내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체강 내에 축적되는 지방)으로 나뉜다. 문제가 되는 것은 내장지방이다. 특히 내장지방이 과도하게 쌓일 경우 우리 몸의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고 염증 물질이 늘어나 당뇨, 관상동맥질환, 이상지질혈증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있다.

복부비만 비율이 늘면서 비만을 포함해 다양한 질병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도 함께 늘었다. 대사증후군은 개인이 고혈압, 고지혈증, 내당성 장애 등 여러 질환을 함께 가지는 것이다.

대한비만학회가 질병관리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012년 24.9%에서 2021년 29.0%로 올랐다. 남녀 모두에서 유병률이 올랐지만 남성이 1.3배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복부비만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운동 등이 병행돼야 한다. 탄수화물을 줄이고 단백질을 늘리며  유·무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며 금연·음주 조절 등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소셜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